본문 바로가기
지루한 경제이야기

한국 미래 혁신기업의 부재, ICV탱크 미래산업 경쟁력 지수 보고서 분석

by 뜻소정 2025. 6. 3.

 

 

 

 

한국 미래 혁신기업의 부재, ICV탱크 미래산업 경쟁력 지수 보고서 분석

 

한국 미래 혁신기업의 부재
한국 미래 혁신기업의 부재

 

6/2 첨단산업 전문 시장조사업체, 캐나다 ICV탱크의 '글로벌 미래 산업경쟁력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AI, 휴머노이드, 바이오, 친환경에너지, 우주해양, 첨단네트워크, 양자컴퓨팅, 뇌과학 등 8대 미래산업에 대한 톱10 기업이 나와있다.

 

1. 분야별 톱10에 든 한국기업

  • 삼성전자 : 첨단 네트워크 분야
  • LG에너지솔루션 : 친환경 에너지

단 두 곳 뿐이다.

 

 

[삼성전자는 왜 공조회사에 투자할까?]

 

삼성전자는 왜 공조회사에 투자를 할까? 그리고 전망 및 기회

삼성전자는 왜 공조회사에 투자를 할까?2025.05.15 삼성전자는 유럽최대 공조기기 기업인 독일 플랙트 그룹을 약 2조 3,700억원이나 지불하면서 인수한다고 발표했다.B2B 공조시장을 선점하거나 혹

thebutterflyeffects.tistory.com

 

 

2. 분야별 톱10 배출국가

1위 : 미국 41개

2위 : 중국 18개

3위 : 캐나다/일본 3개

 

3. 미래산업 경쟁력 지수 보고서 분석

과거 5~10년전은 메모리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미래 산업분야가 생길 때 마다 대한민국 기업은 빠지지 않았으나, 현 상황은 거의 부재에 가깝다. 특히, AI/휴머노이드 분야에 주목해야한다.

 

AI 산업

AI 10개 상위기업 중 7개는 미국, 3개는 중국이 차지했다.

  • 1위 : 오픈AI (미)
  • 2위 : 구글 (미)
  • 3위 : 앤스로픽 (미)
  • 6위 : 딥시크 (중)
  • 8위 : 바이트댄스 (중)
  • 10위 : 텐센트 (중)

AI 기술이 텍스트와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하는 멀티모달로 전환하면서 미/중의 양자구도가 발생했고, 한국은 턱없이 부족한 16~18위를 차지했다. ( LG, 삼성, 네이버)

 

휴머노이드 산업

휴머노이드도 마찬가지다.

심지어 중국 유비테크의 '워커S'는 BYD 자동차 생산라인에 투입되기까지 하며 상용화 단계에 돌입하였는데, 국내 로봇업계는 단순작업반복하는 '기계'에 불과하다.

 

그 외 산업

그 외 바이오, 우주해양, 양자컴퓨팅... 등 또 중차대한 산업이 많지만, 이것까지 바라지도 못할 것 같다.

 

4. 한국 미래산업의 미래 그리고 나의 생각과 액션

신문이나 뉴스를 보면, 2000년대 IT붐 때 처럼 '정부주도의 규제완화'나 '미래산업 육성'.... 뭐 이런 이야기를 상당히 많이한다.

또, '인력부족', '콘텐츠규제', '벤처투자' 등... 이런 변명거리도 가득하다.

 

정말 한국산업이 저물어 가는 원인은 내 위치에서 명확하게 파악할 순 없지만, 5~10년전에 비해 이제 한국산업에서 무언가를 글로벌하게 밀고나갈 산업이 없어지고 있다는건 사실인 것 같다.

 

규제를 완화하고, 산업을 다시 키우는 일은 내가할 일이 아닌 것 같아 지켜보도록 하고, 이제 나는(우리는) 글로벌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AI든 휴머노이든 본인이 생각하는 유망기업을 예전처럼 한국내에서 찾아볼 것이 아니라 시야를 넓혀야한다는게 1번인 것 같다. 현 시점에서 봤을 때, 무리해서 국내기업을 찾는건 리스크가 너무 크고, 미/중 양국만이 미래산업을 주도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재빠른 판단을 할 시점이 아닌가 싶다.

 

 

 

주 4.5일제 도입 방식 및 사례, 장단점, 쟁점 및 이슈와 다른국가 사례분석

주 4.5일제 도입 방식 및 사례, 장단점, 쟁점 및 이슈와 다른국가 사례분석 1. 개요 및 정책 동향최근 대한민국에서는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과 장시간 노동 문제 해소를 위해 주 4.5일제 도입이 주

thebutterflyeffects.tistory.com